// Mozilla, Opera, Webkit
if ( document.addEventListener ) {
document.addEventListener( "DOMContentLoaded", function(){
document.removeEventListener( "DOMContentLoaded", arguments.callee, false);
domReady();
}, false );
// If IE event model is used
} else if ( document.attachEvent ) {
// ensure firing before onload
document.attachEvent("onreadystatechange", function(){
if ( document.readyState === "complete" ) {
document.detachEvent( "onreadystatechange", arguments.callee );
domReady();
}
});
}
if ( document.addEventListener ) {
document.addEventListener( "DOMContentLoaded", function(){
document.removeEventListener( "DOMContentLoaded", arguments.callee, false);
domReady();
}, false );
// If IE event model is used
} else if ( document.attachEvent ) {
// ensure firing before onload
document.attachEvent("onreadystatechange", function(){
if ( document.readyState === "complete" ) {
document.detachEvent( "onreadystatechange", arguments.callee );
domReady();
}
});
}
function domReady () {
// 이 안에 명령어 입력
}
onload와 ready의 다른 점은
onload는 페이지가 다 읽고 난 후 실행 되는 것이고
ready는 문서의 DOM요소만 다 읽히면 바로 실행되는 것이다.
제이쿼리는 동적인 효과 부분에만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플래시를 사용할 수 있지만 플래시보다는 그래도 제이쿼리가 낫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동적인 효과를 제외한 기본적인 것들은 모두 제이쿼리를 빼버리는 것이 진정한 남자라고 생각한다.
사실 진짜 상남자라면 동적인 효과마저도 제이쿼리 자체를 아예 안써야 맞다.
그래서 나도 왠만하면 제이쿼리를 안쓰려고 노력한다.
타이머를 잘 활용하면 왠만한 동적인 효과를 낼 수도 있지만,
슬라이드 이미지에 관련된 화려한 그래픽 효과는 아직 제이쿼리를 쓸 수 밖에 없다.
그래도 플래시보단 제이쿼리가 나으니까 울며 겨자먹기로 제이쿼리를 쓴다.
세상이 바뀌었다. 플래시를 잘한다고 남자다웠던 시절이 끝났다.
이제 모바일시대로 넘어가면서 모든 하드웨어, 모든 운영체제에서 똑같이 보여야 하기에 플래시는 이제 남자다운게 아니다.
내 장점중 하나가 개발자이면서 그래픽툴인 플래시를 자유자재로 다뤘던 것인데
장점 하나가 사라져가서 슬프다.